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김장쓰레기 배출 완벽 가이드 | 스티커 부착부터 서울·경기도 구체적 규정까지 총정리

by 또박톡 2025. 11. 4.
반응형

 

김장철 쓰레기 배출법부터
스티커 부착 규정까지 총정리!

서울·경기도별 김장쓰레기
기간, 봉투 규정, 과태료 주의사항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김장쓰레기 배출방법

 

11월이 되면 본격적인 김장철이 시작되죠.
배추 절이고, 무 다듬고, 파 다듬다 보면

어느새 쓰레기 봉투가 한가득!
그런데 이런 김장쓰레기,

그냥 음식물쓰레기나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안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서울과 경기도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김장철 동안 ‘김장쓰레기 특별 배출기간’을 운영하며,
일부 지역은 스티커 부착 의무까지 시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서울과 경기 주요 지역별 규정,

올바른 배출법, 과태료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김장쓰레기란?

김장 과정에서 나오는 채소 잔여물들을 말합니다.

 

김장쓰레기

  • 배추 겉잎
  • 무청, 파뿌리
  • 양파·마늘 껍질
  • 절임 후 남은 채소찌꺼기 등

이런 김장쓰레기는 일반 음식물쓰레기보다

부피가 크고 수분이 많아,

그대로 배출하면 수거 및 처리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각 지자체는 한시적으로 배출 규정

별도로 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서울·경기도 김장쓰레기 배출기간 및 규정 요약

영등포구 김장쓰레기 특별 수거기간 운영
영등포구 김장쓰레기 수거기간 출처=영등포구 블로그

지역 배출기간 배출방법 요약
서울 영등포구 11월 1일 ~ 12월 31일 일반종량제봉투(10~50ℓ)에 담고, 겉면에 ‘김장쓰레기 스티커’ 부착. 동주민센터 또는 구청 홈페이지에서 수령·출력 가능.
서울 관악구 11월 1일 ~ 12월 31일 일반종량제봉투(10ℓ 이상) 사용 + ‘김장쓰레기 표시’ 필수. 출력 허용.
경기 수원시 상시 (11~12월 집중) 흙·뿌리·껍질 등 이물질 많은 부분 → 일반쓰레기 / 손질된 채소류 → 음식물쓰레기로 구분 배출.
경기 용인시(기흥구) 11~12월 물기 제거, 잘게 썰기, 흰색 종량제봉투 사용 권장.
경기 안산시 11월~12월 김장쓰레기만 담은 일반봉투(50ℓ 이내) 사용 가능. 혼합 배출 시 수거 불가.
경기 평택시 11월 4일 ~ 12월 31일 물기 제거·잘게 썰어 일반봉투 사용 가능. 필요시 ‘음식물쓰레기’ 표시.
경기 화성시 11월 1일 ~ 12월 15일 소각용 종량제봉투 한시 허용. 양파망 등 이물질 제거 필수.
경기 성남시 11월~12월 김장 채소 잔여물은 음식물쓰레기로 가능. 양념·절임채소는 일반쓰레기.
경기 고양시 11월~12월 물기 제거 후 잘게 썰기, 흙·노끈·비닐 등 이물질 제거 후 배출. 

💡 Tip:
대부분의 지역에서 “물기 제거, 부피 줄이기, 이물질 제거”는 공통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각 지자체별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스티커는 왜 붙여야 할까?

영등포구 김장쓰레기 스티커
영등포구 김장쓰레기 배출스티커 출처=영등포구 블로그

 

김장철에는 평소보다 쓰레기가 2~3배 늘어나기 때문에,

구·시청에서는 스티커 표시 봉투만 별도로 수거합니다.
스티커를 붙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1. 김장 전용 수거 구분 → 일반 음식물쓰레기와 혼동 방지
  2. 과태료 예방 → 스티커 미부착 시 ‘무단배출’로 간주 가능
  3. 수거 효율성 → 구청에서 배출량 파악 및 전용차량 운영 가능

스티커 수령처: 동주민센터 / 구청 홈페이지 (PDF 다운로드 가능)
일부 자치구는 ‘김장쓰레기 표시 문구’만 적어도 인정합니다.


혼합 배출은 절대 금지!

아래의 경우에는 수거가 거부되거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채소찌꺼기 + 비닐, 플라스틱 등 일반쓰레기 혼합
  • 양념 묻은 절임채소 음식물봉투에 넣기
  • 물기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봉투 배출

👉 폐기물관리법 위반 시 최대 1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가능하니 주의하세요.


구분해서 버리기 - 이렇게 하세요!

종류 배출 방법
흙·뿌리·껍질 등 이물질 많은 부분 일반종량제봉투
배추·무 등 손질된 채소류 음식물쓰레기봉투
양념 묻은 재료, 절임채소 일반봉투
물기 제거 후 가능한 부분 음식물 가능

김장쓰레기 배출 5단계 체크리스트

  1. 물기 제거 – 수분 많으면 악취 발생
  2. 잘게 썰기 – 부피 줄이기
  3. 이물질 제거 – 흙, 노끈, 양파망 제거
  4. 적정 봉투 선택 – 일반·음식물 중 구청 안내 확인
  5. 스티커 부착 – 해당 지역 필수 시 반드시 부착

지역별 배출 꿀팁

  • 공동주택(아파트) → 관리사무소 지정 장소에만 배출 가능
  • 단독주택 → 생활쓰레기 수거일에 맞춰 문전 배출
  • 스티커 필수 지역: 영등포구·관악구·중구 등
  • 한시 허용제 지역: 화성시·평택시(소각용 봉투 허용제 운영)

"김장쓰레기, 그냥 버리면 안 돼요!"

 

김장쓰레기 배출 전용 스티커를 붙여 배출한 모습
김장쓰레기 배출 전용 스티커를 붙여 배출한 모습. 출처=영등포신문

 

✔ 스티커 부착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곳이 많고
✔ 물기 제거, 부피 줄이기, 구분 배출은

전 지역 공통사항입니다.
✔ 서울은 스티커 중심 / 경기도는 한시적 일반봉투 허용

중심으로 운영돼요.

조금만 신경 쓰면 깨끗한 겨울과

환경도 함께 지킬 수 있습니다.
올해 김장철엔 스티커 붙이고 깔끔하게!

 

**겨울철 동치미 담그는법도 같이 읽어보세요!!

 

동치미 담그는 법, 겨울에 딱! 군고구마와 찰떡궁합 시원한 국물김치

겨울철 시원한 국물김치, 동치미 담그는 법부터 군고구마와의 찰떡궁합까지!아삭한 무, 맑은 국물, 따뜻한 고구마 한입으로 완성되는 겨울 밥상 레시피 겨울이 되면 생각나는 따뜻한 별미, 군고

talk.ttobak.com

 

반응형